춘천의 불교
청평사
춘천의 유교
춘천지역의 유교문화
이궁(離宮)과 누정(樓亭)
정문(旌門)
선정비와 기념비
配享
부록
충의문화
춘천의 충의문화
춘천의 충의 인물
충의유적
문헌자료
고대문화
춘천의 고대사회
춘천의 청동기시대 문화
춘천의 초기철기시대 문화
춘천의 삼국시대 문화
통일신라시대의 춘천
참고문헌
부록
민속
지명
춘천의 유교
춘천지역의 유교문화
춘천지역의 유교문화
교육시설
유학과 주자학의 보급
이궁(離宮)과 누정(樓亭)
이궁
조양루(朝陽樓)
위봉문(威鳳門)
문소각(聞韶閣)
누정
소양정(昭陽亭)
봉황대(鳳凰臺)
고산대(孤山臺)
봉의루(鳳儀樓)
이외의 누정
정문(旌門)
충신
한백록 정려문
열녀(烈女)·효자(孝子)·효부문(孝婦門)
목중진(睦重鎭) 효자문
함평이씨(咸平李氏) 열녀문
이후진(李垕鎭) 효자문
김해김씨(金海金氏) 효부문
박주국(朴柱國) 효자문
고령신씨(高靈申氏) 열녀문
효자 박성규(朴成逵)· 효부 연안김씨(延安金氏) 정려문
강릉최씨 열녀문
정자번(鄭自藩)·정자방(鄭自芳) 정려문
문헌에 수록된 효행(孝行)
선정비와 기념비
선정·공덕비
소양로 선정비군
소양로 비석군 외의 선정비
공덕·기념비
문헌에 보이는 선정비
암각문
반석평(潘碩枰) 시
홍무벽
방화계
配享
장절사(壯節祠)
한백록(韓百錄) 재실
지퇴당공 영모재(知退堂公 永慕齋)
주일당(主一堂)
의열사(義烈祠)
백운단(白雲壇) 터
늠연실(凜然室)
당산재(唐山齋)
칠원윤씨(漆原尹氏) 비각
춘수재(春壽齋)
동학재(東鶴齋)
모술재(慕述齋)
모란재(慕蘭齋)
송윤사(松尹祠)
숭모재(崇慕齋)
숭모당
월송사(月松祠)
숭덕사(崇德祠)
호성사(扈聖祠)
자효재(慈孝齋)
창평사(昌平祠) 터
부록
향교 관련 자료
향교 관련 문헌
문암서원 관련 자료
도포서원 관련 자료
이궁 관련 자료
누정 관련 자료
소양정(昭陽亭)
邀仙堂
고산대(孤山臺 : 봉추대(鳳雛臺) 상산대(象山臺))
명농정(明農亭)
봉황대(鳳凰臺)
연정(蓮亭)
선몽당(仙夢堂)
비선정(飛仙亭)
온수정(溫水亭)
부벽정(浮碧亭)
우두정(牛頭亭)
재송정(栽松亭)
동구재(東邱齋)
영귀정(詠歸亭)
지암정(芝巖亭)
춘천지역 신도비 목록
춘천지역 묘비 목록
사이트 내 전체검색
Home
>
춘천의 유교
>
정문(旌門)
문헌에 수록된 효행(孝行)
(1) 강씨(姜氏) 사인(士人) 최창경(崔昌慶)의 처로 지아비가 죽자 함께 따라 자결하였다. 후에 정려되었다. (2) 고선주(高善柱) 진한(鎭漢)의 손자로 자는 인선(仁善), 호는 초은(樵隱)이며 주사(主事)를 지냈다. 부모의 명환이...
정자번(鄭自藩)·정자방(鄭自芳) 정려문
정자번과 정자방 형제의 우애를 기리기 위하여 내린 정려이다. 정려각에 정려는 없고 이를 최근에 기록한 비문이 정효각(旌孝閣) 내에 있다
강릉최씨 열녀문
남면 증3리 김유정 문학촌 뒤편에 있는데 1893년(고종 30)에 정려가 내려졌다. 원래의 위치는 홍천군 북방면 별업리에 있었던 것을 춘천시 동산면 상걸리였으나 도로건설로 인하여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
효자 박성규(朴成逵)· 효부 연안김씨(延安金氏) 정려문
남산면 수동2리에 있는 정문(旌門)으로 효자 박성규와 그의 처 연안김씨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888(고종 25)년에 세운 것이다. 원 위치는 박선명 묘소의 능선 50m 아래쪽에 있었는데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정려문과 정려의 ...
고령신씨(高靈申氏) 열녀문
남면 후동1리에 있는 고령신씨의 열녀문으로 1854년(철종 5)에 정려가 내려졌다. 전면과 측면이 각 1칸이고 맞배지붕이다. 전면은 모두 살대로 막았으며 측면과 뒷면은 하단부를 판벽으로 하고 윗부분은 살대로 막았다. 정려문은 내부...
박주국(朴柱國) 효자문
현재의 강원경찰청 부지에 있었으나 경찰청이 건축되면서 현재의 위치인 거두1리로 이전하였다. 박주국의 본관은 영암(靈巖)이고 판서 보용(寶龍)의 후손이다1). 인근에 후손이 살고 있다. 정려는 1854년(철종 5)에 내려졌다.
김해김씨(金海金氏) 효부문
남면 창촌3리에 건립된 효부문으로 임수강의 처인 김해김씨를 기리는 정려이다. 김씨는 예의 범절을 지키는 정숙한 부인으로 시어머니가 병환으로 자리에 누웠을 때 백약을 구해 봉양하였다. 시어머니가 추운 겨울에 생선을 먹고 싶다...
이후진(李垕鎭) 효자문
신동면 혈동1리에 있다. 정면과 측면이 모두 1칸이고 맞배지붕이며 기와지붕이다. 1754년(영조 30)에 정문을 내려졌다.
함평이씨(咸平李氏) 열녀문
남면 발산2리에 건립된 열녀문이다. 함평이씨는 유준과 결혼하였는데 얼마 안되어 남편이 그만 타계하였다. 이씨는 3년 상을 지성으로 치르고 남편을 따라 자진하였다. 나라에서 그녀의 열행이 지극하여 1763년(영조 29)에 정문을 내...
목중진(睦重鎭) 효자문
남산면 수동리 산록의 묘역에 있다. 본관은 사천(泗川), 목사(牧使) 창우(昌遇)의 아들이다. 서울에서 성장하여 춘천으로 이거하였는데 조부의 제사일이나 형의 생일이면 춘천의 토산품을 몸소 지고 200리길을 한 번도 빠짐없이 왕래...
한백록 정려문
충장공 한백록(1555-1592)은 춘천 출신의 충신으로 정려로 表한 유일한 인물이다.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수지(綬之)이다. 1580년(선조 13)에 알성무과에 급제하여 진잠현감, 지세포만호를 역임했으며, 임진왜...